검도 자료실
검도기술 및 이론

팀 응집력 지도자 스타일- 신승호

관리자
0 3030

팀 응집력 지도자 스타일 (대학검도보 1997년 가을호) 신승호 (남서울대 교수, 검도 6단)


Ⅰ. 서론 우리 사회 어디에서건 그룹 또는 조직이 존재한다. 이러한 그룹 또는 조직은 자연적으로 형성된다기 보다는 인위적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이라 하겠다. 그룹은 역동적이며, 상호교류적이며, 활동적이다. 이러한 생명력은 그룹에 때로는 긍정적으로, 때로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Carron, 1993). 인간들에게 그룹활동은 가장 일시적인 사회적 생활의 하나이며 많은 사람들이 그룹 또는 조직에 가담하여 매일매일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활동하고 있다. 그룹 또는 조직의 형태는 다양하다. 즉, 직장, 군대, 정당 등에서부터 시작하여 사교모임, class 등의 수 많은 크고 작은 그룹 또는 집단들이 있다. 만약 인간사회에 그룹 또는 조직활동이 없다면 사람들은 제각기 고립되어 질 것이고, 생산적이지 못하고, 세상에서 그 존재의 가치를 찾기가 어려울 것이다(Michener, Delamater, & Schwartz, 1986). 물론 스포츠 팀 또는 스포츠 단체도 사회의 중요한 조직의 형태이다. 그리고 스포츠에 있어서 개인 경기 일지라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체에 소속되어 경기를 하게 된다. 다른 그룹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포츠 팀은 여러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시간의 변화와 환경아래 여러 가지 과정에 걸쳐 다양한 상호교류를 한다. Fox(1984)는 그룹의 역동성을 파악 하는데 있어서 그룹내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말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룹의 환경과 그룹을 이끌고 가는 지도자의 스타일은 스포츠 팀의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들이라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많은 분명하고 미묘한 요소들이 그룹의 수행력을 변화시키는 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요소들로 그룹의 규모, 그룹의 전통과 역사, 그룹 member들 간의 의사소통의 질과 경로, 그리고 그룹이 구성된 이유 등을 들 수 있다(Sanders, 1977). 그리고 그룹 member들 간의 경쟁과 협력, 그룹의 목표 달성에 대한 인식도 등도 중요한 요소들로 간주되고 있다. 스포츠 팀에 있어서 팀 응집력은 전체적인 팀의 동기를 유발시키고 팀의 수행력을 최대화 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하나라고 우리는 흔히 알고 있다. 그러나 팀의 응집력과 팀 수행력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은 항상 같은 결과만을 얻는 것이 아니라, 스포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팀 지도자의 스타일은 팀 응집력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그 지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연주자들은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스포츠 팀의 응집력과 팀 지도자의 스타일이 팀 수행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 보고자 한다. 그리고 스포츠 종목의 특성에 따른 팀 응집력과 팀 수행력과의 관계도 살펴보고자 한다.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검도팀을 지도하고 검도도장을 운영하는 지도자들에게 바람직한 지도자의 스타일과 자세, 그리고 팀의 수행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 등을 제시 할 수 있으리라 본다.


Ⅱ. 본론 팀 응집력과 팀 수행력과의 관계 응집력은 그룹이나 조직의 발전 단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져 왔으며 그룹 수행력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Carron(1982)은 팀 응집력은 그룹의 목적 또는 목표를 추구하는데 있어 그룹원들이 융합하고 함께 결속하는 상태를 유지해 나가는 역동적인 과정이라고 정의 하였다. 이러한 응집력은 정적이지 않고 변화한다고 하였다. 즉, 응집력이 높다가도 서서히 약화되고, 다시 강화되었다가 약화되어가는 패턴이 그룹활동 중에 반복이 된다는 것이다. 그는 스포츠 팀의 응집력을 유발시키는 4가지 요인들 즉, 환경적, 개인적, leadership, 그리고 팀 요소 등을 포함한 이론적인 구조를 제안하였다. 여기에서 환경적인 요인들이란 그룹의 일반적인 체계 아래 존재하는 요인들, 즉, 그룹의 과업, 그룹의 성격, 그룹 존재의 안전성 등을 포함한다. 인적 요소들이란 과업적, 사회적 그리고 리더 개인에 관련한 동기유발, 자기만족, 여러 그룹 member들 간에 있어서 개인차 등을 말한다. 그리고 leadership 요소로는 지도자와 선수들의 인간적 관계 등을 포함하여, 마지막으로 팀 요소로는 팀 자체의 규범 및 전통, 과업과 팀 내 사회적 교류와의 균형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네 가지 커다란 요인들이 균형을 이루고 모든 그룹 member들이 서로 호의적인 그룹은 높은 규범과 강한 동기유발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팀 수행력을 방해하는 여러 가지 갈등요인 등에 강한 저항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룹 member들이 서로 호의적이고 그룹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분담할 수록 그룹의 응집력은 더 강해진다는 것이다. 그러면 스포츠에 있어서 여러 가지 긍정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이 응집력이 높은 팀은 응집력이 낮은 팀 보다 팀 수행력에 있어 항상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대답은 항상 '그렇다'라고만 할 수 없다. 팀 응집력과 팀 수행력과의 관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을 보면 매우 복잡한 양상을 나타냈다. 즉, 연구들 중 많은 수가 응집력의 중요성이 팀 수행능력에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했고, 또한 팀 응집력이 높을 수록 팀 수행능력도 향상되는 긍정적인 관계를 증명한 반면에, 또 다른 연구들은 팀 응집력과 팀 수행능력과의 사이에 전혀 유의한 관계가 없고 심지어는 부정적인 관계의 결과가 도출된 연구도 있었다. 이렇게 서로 다른 결과가 도출된 것은 특히 각 스포츠의 특성 또는 경쟁형태에 주 원인이 있는 것으로 연구자들은 지적하였다. 대부분의 팀 스포츠는 경쟁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리할 수 있다. 즉, 팀 내에서의 상호 작용형과 협력적 개인 활동형이 두 가지 이다. 상호 작용형의 스포츠란 흔히 이야기하는 단체 스포츠로 팀을 이루고 있는 member들이 서로 교류하고 협력하며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 한 사람이 잘못하면 다른 사람의 활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호 교류형의 스포츠 종목으로 흔히 축구, 배구, 농구, 하키, 미식축구 등을 들 수 있다. 협력적 개인 활동형 스포츠란 팀의 member들이 독립적으로 활동하며 팀의 수행력이 독립적으로 활동한 모든 개개인의 점수를 합하여 결정되는 형태의 스포츠를 말한다. 이러한 협력적 개인 활동형의 스포츠 종목으로 테니스, 볼링, 체조, 사격 등을 들 수 있다. 검도도 이러한 두 가지 형태에 따라 구분한다면 협력적 개인 활동형의 스포츠에 든다고 할 수 있겠다. 즉, 선봉에서부터 주장까지 각 개인이 독립적으로 나가서 겨루어서 그 결과를 모두 합하여 팀의 승패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팀 결속력과 팀 수행력과의 관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스포츠의 이 두 가지 경쟁형태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다름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상호 작용형의 스포츠는 팀 member들 간에 인화와 결속력이 높을수록 팀 수행력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팀 응집력과 팀 수행력간에 의미심장하게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협력적 개인 활동형의 스포츠에 있어서는 팀 응집력과 팀 수행력이 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록 팀의 인화와 결속력이 높지 않더라도 팀 수행력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선수 개개인간에 라이벌 의식을 조성 시킴으로써 팀 전체의 수행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는 결론들이 나왔다. 그러나 상호 교류형의 스포츠이건, 협력적 개인 활동형의 스포츠이건 간에 팀의 수행력 향상이 아닌 또 다른 차원에서 팀의 화합과 결속은 그룹전체의 존재와 발전을 위해서 중요한 요소로 한결같이 지적되고 있다. 즉, 그룹의 응집력은 그룹의 rule과 규범을 유지하며, 그룹으로부터 이탈자를 방지하고, 그룹원들의 동기를 유발 시키고, 그리고 그룹에 대한 헌신도를 높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Leadership 스타일 팀의 지도자는 그 그룹의 member들에게 기술을 지도하고, 그룹의 방향을 제시하고, 또한 그룹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이러한 지도자의 스타일은 크게 전제형 지도자와 민주형 지도자로 나눌 수 있다. 이 두 스타일 이후에 자유방임적 지도자 스타일이 나왔으나 스포츠세계에서는 앞의 두 가지 스타일이 여태까지 보편화 된 leadership 스타일이기 때문에 자유방임적 스타일은 여기서 다루지 않겠다. 전제형 지도자는 권위주의적이며 명령을 일방적으로 내리고 그룹 member들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모든 정책을 결정한다. 이러한 일방적인 의사결정의 성질 때문에 훈련 위주의 지도자 스타일이 대표적인 전제형 지도자로 간주된다. 반면에 민주형 지도자는 평등주의적이며 member들간의 결속을 중요시하고 member들의 필요와 느낌 등을 항상 고려하여 정책들도 그룹전체의 의사를 반영하여 결정한다. 대표적인 민주형 지도자 스타일로 인화위주의 지도자를 포함할 수 있다(Fox, 1984). 대체적으로 전제형 지도자 아래 있는 member들은 소극적이며, 지도자들에게 보다 의존적이고, 그룹 member들 간에는 '자기'중심의 이기적인 경향이 많은 반면에, 민주형 지도자 아래있는 member들은 보다 적극적이며, 협조적 방법에 많이 의존하며. '우리'중심의 공동의식을 가지기 때문에 보다 응집력이 높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상호교류 위주이며 비교적 규모가 작은 그룹의 member들이 민주형 지도자에게 보다 많은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에, 과업위주이며 비교적 규모가 튼 그룹의 member들은 전제형 지도자에게 보다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togdill, 1974). 이러한 지도자 스타일은 member들의 기술수준, 지적인 능력, 그리고 주어진 특수한 상황에 따라 다르게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자들은 지적하였다. 즉, 전제형에 속하는 훈련위주의 지도자 스타일은 그룹 member들의 역할 분담이 분명치 않고 그룹의 구조가 완전히 정립되지 않으며 응집력이 낮은 그룹에서 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민주형에 속하는 인화위주의 지도자 스타일은 역할분담이 분명하고 응집력이 높은 그룹에서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그룹의 분위기 또는 상황에 따른 우호도의 정도에 따라서도 leadership스타일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그룹 member들 간에 극도로 우호적이거나 극도로 비우호적인 상황하에서는 훈련위주의 지도자가 효과적이며 우호도가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인화주의 지도자가 보다 효과적이다(Wardel, 1977). 그룹 member들의 기술수준에 따른 leadership 스타일의 효과성을 비교해보면 인화위주의 지도자는 기술수준이 높은 팀에서 보다 효과적이었고 기술수준이 낮은 팀에서는 덜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훈련위주의 지도자는 기술수준이 높은 팀에서는 덜 효과적이었고 기술수준이 낮은 팀에서 아주 효과적이었다(Bird, 1977).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높은 기술을 갖춘 선수들은 자기 스스로 훈련을 통해서 관리할 줄 알기 때문에 지도자는 선수들의 동기유발, 인화 등 인간적인 관리를 위주로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요, 기술수준이 낮은 선수들은 훈련을 통한 자기관리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인간관계 보다는 지도자의 직접적이고 훈련위주의 스타일이 팀 수향력을 높이는 데 보다 효과적이라고 지적하였다(Westre & Weiss, 1991). Ⅲ. 결론 팀 응집력, 지도자의 스타일, 그리고 팀 수행력과의 관계에 관한 문헌을 고찰한 결과, 그리고 검도의 영역에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검도경기는 스포츠의 경쟁형태에 의해 분류하면 협력적 개인 활동형의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즉, 선종에서 주장까지 개개인이 독립적으로 나가서 시합을 겨루고 그 결과를 나중에 합하여 팀의 승패를 가름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도에서 팀 전체의 동기를 유발시키고, 규범과 rule을 유지하기 위해 인화 등을 통한 선수들의 결속을 간과해서는 안되지만, 팀 수행력의 높이기 위해서는 비록 팀 응집력이 약화되더라도 선수들간의 라이벌 의식을 고양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 하겠다. 그리고 전제형과 민주형에 속하는 지도자로는 훈련위주의 스타일과 인화위주의 스타일이 대표적인데 팀의 여러 가지 특성과 상황에 따라 지도 스타일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훈련위주의 지도자 스타일은 기술수준이 낮은 선수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반면에 인화위주의 지도자 스타일은 기술수준이 높은 순수들에게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만약에 검도에서 기술이 최고수준에 있는 팀을 책임 맡을 지도자의 한 모형을 제시하라고 한다면 선수들의 동기부여, 화합 등의 인간관리를 중요시 여기는 인화위주의 지도 스타일에 선수들간에 운동을 통한 개개인의 라이벌 의식을 조성하고, 고양시킬 수 있는 지도방법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첨언하면 무엇보다도 뛰어난 지도자라면 자기의 지도 스타일에 맞춰 선수들에게 무조건 따라오라가 아닌 선수들의 기술수준 및 능력, 팀의 내적 및 외적 환경, 스포츠의 특성, 그리고 여느 특수한 상황들에 자기의 지도 스타일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자기의 선천적인 성격을 바꾸라는 이야기가 아니고 선수들을 관리하고, 팀을 책임지고 리드하며, 그리고 팀 수행력을 극대화 시킨다는 측면에서 지도자의 유연한 변화와 효과적인 스타일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참고 문헌> Carron, A.V. (1993). The sport team as an effective group. in J.M. Williams (E.d), Applied Sport Psychology: Personal Growth to Peak Performance (pp. 110-121). Mountain View, CA: Mayfield Publishing Co. Carron, A.V. (1982). Cohesiveness in sport groups: Interpretations and consideration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4, 123-138. Fox, E.C. (1984).Team cohesion, ability and coaches' leadership effectiveness as predictors of success in women's intercollegiate softbal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Michener, H.A., DeLamater, J.D., & Schwartz, S.H. (1986). Social Psychology. Orlando, FL: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Sanders, B.L. (1977). Relationship between cohesion and final standing of open-league softball teams. Unpublished master thesis, North Carolina Central University. Stogdill, J. (1974). Handbook of leadership. New york, NY: Free Press. Wardel, D.B. (1977). Across-sport comparison of leadership style and team succ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tah. Westre, K.L., & Weiss, M.R. (1991)between perceived coaching behaviors and group cohesion in high school football teams. The Sport Psychologist, 5, 41-54.

0 Comments
제목
TOP